[배달잇슈] '중독'에 '범죄노출'까지…미국 부모도 고민하는 이것<br /><br />페이스북 모 회사 메타가<br />자사 소셜미디어에 부모의 자녀 SNS 감독 기능을 강화했습니다.<br /><br />10대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 장치들을 도입한 건데요.<br /><br />아들딸이 누구와 채팅을 주고받는지,<br />혹시 낯선 사람의 메시지를 수락한 건 아닌지,<br />심지어 얼마나 접속해 있는지까지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20분이 지나면 휴식 권고 알림이 뜨고,<br />자녀가 누군가를 신고하면 알림을 받는 기능도 추가됐는데요<br /><br />다만, 대화 내용은 들여다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인스타그램 역시, 자녀의 팔로워를 확인할 수 있고<br />팔로워가 아닌 낯선 성인들이 메시지를 무작정 보낼 수 없게<br />제한하는 기능도 생겼습니다.<br /><br />메타는 이런 기능들을 미국, 캐나다, 영국에 우선 시작하고<br />점차 다른 나라들로 확장할 것이라고 전했는데요.<br /><br />왜 이런 조치들이 나온 걸까요?<br /><br />바로 점점 심해지는 청소년들의 '소셜 미디어 중독'.<br />또, 점점 더 심각해지는, 10대들을 향한 '안전 위협'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우울증 등 SNS의 부작용과 부적절한 콘텐츠 노출은 물론,<br />심지어 성착취 같은 범죄 피해자가 되기도 해<br />이제라도 부모의 감독을 받아야 한단 취지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말 10대 자녀를 둔 미국 부모들이<br />SNS 플랫폼들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한 이유이기도 하죠.<br /><br />미 의회에선 청소년이 부모의 동의를 받아야 소셜 미디어 가입을 할 수 있거나,<br />청소년 콘텐츠 추천 제한 같은 입법 움직임도 속속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에서조차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며 선제적 조치를 나선 건데, 이런 SNS나 랜덤 채팅앱의 어두운 현실,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일텐데요.<br /><br />지난해 여가부 등에 따르면,<br />성 착취 위험에 노출된 아동 청소년 862명의 피해 경로는<br />채팅앱이 49.1%, SNS가 28.8%로 1,2위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실명 인증이나 대화 저장, 신고 기능 없는 채팅앱을<br />청소년유해매체로 지정하고 있지만,<br />올해 초 기준 국내외 채팅앱 271개 가운데<br />실제 지정된 건 10개, 3,7%에 그칩니다.<br /><br />2년 전부터 불시 모니터링을 하면서<br />유해 앱들을 주기적으로 단속하고 있지만,<br />우후죽순 생겨나는 SNS와 채팅앱은<br />여전히 10대를 향한 범죄 도구로 악용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청소년들의 온라인 활동 연령 역시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 조사 결과,<br />초등학생의 메타버스 이용률이 70.6%로<br />중, 고등학생에 비해 훨씬 높았습니다.<br /><br />김성벽/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환경과장<br />"유익한 콘텐츠의 소비뿐 아니라 유해한 콘텐츠 노출이 저연령층에서도 조금씩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. 성 착취, 폭력, 술 담배 같은 유해 약물의 구매 이런 문제들이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면서"<br /><br />10대들을 표적삼는 온라인 공간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,<br />온라인 플랫폼들에 대한 현실적인 규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#SNS #메타 #페이스북 #인스타그램 #미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